[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N 위키 엔진/권한 (r1)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1. grant로 부여 가능한 권한[편집]
1.1. owner [편집]
소유자 권한. 현재 개발자만 이 권한을 가지고 있다. grant 권한만으로는 정상적으로 부여되지 않으며, owner 권한이 있어야 부여가 가능하다. 엔진 전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설정 페이지에도 접근 가능하다.
1.2. admin[편집]
관리자 권한이다. 이 권한이 존재할 시 사용자 문서 상단에 This user have special permission이라는 틀이 뜬다. 마우스를 올리거나 터치했을 때 색이 변해야 유효하다.
1.3. grant[편집]
1.4. delete_thread[편집]
토론 스레드를 삭제할 수 있다. 토론 스레드가 삭제되더라도 owner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해 복구가 가능하다. 클릭 미스로 중요한 토론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통 반납해두며, 휴지통화 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1.5. nsacl[편집]
네임스페이스 ACL을 조작할 수 있다. 자신이 ACL을 조작할 수 없더라도 조작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해 ACL을 모두 거부로 설정하면 이 권한을 가진 사용자 외에는 조작할 수 없다.
1.6. update_thread[편집]
스레드의 상태 조정 / 문서 이동 / 제목 변경이 모두 가능하다. update_thread_status, update_thread_document, update_thread_topic 이 합쳐진 권한이라고 보면 된다.
1.7. login_history[편집]
로그인 기록 조회가 가능하다. 통합 계정의 보안을 위해 해당 위키에 접속한 적이 없는 계정은 열람이 불가하다.
1.8. block_user[편집]
사용자 차단이 가능하다. user이라는 권한명과 다르게 IP 차단[3]도 지원한다.
1.9. hide_comment[편집]
다른 사용자와 자신의 토론 발언을 숨길 수 있다. 숨기기 해제도 가능하다.
2. grant로 부여 불가능한 권한[편집]
2.1. any[편집]
모두 해당된다.
2.2. member[편집]
로그인된 사용자이다.
2.3. trusted[편집]
신뢰받는 사용자. 가입 30일을 달성해야 한다.
2.4. blocked[편집]
차단된 사용자. 동적으로 차단 상태가 바뀌며 로그인 허용 차단의 경우에는 false를 출력해 따로 복잡한 ACL 설정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복잡한 코딩이 필요한 것이 함정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